-
[Flutter] - Flutter의 정의 및 초기 환경 세팅Flutter 2025. 2. 3. 12:45728x90반응형
Flutter란?
개인적으로 Flutter개발을 하고 싶어서 환경세팅을 하기로 했다.
Flutter는 Google이 개발한 오픈소스 UI 프레임워크로, 단일 코드베이스로 iOS, Android, 웹, 데스크톱(Windows, macOS, Linux)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
구글에서 개발한 Dart언어를 사용하고, 가장 중요한 사용 이유는 단일 코드베이스로 멀티플랫폼 지원한다는 점이다.
Flutter의 구조
Flutter 앱은 3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된다.
Flutter Framework (프레임워크)
• UI 위젯, 애니메이션, 네트워크, 상태 관리 등을 제공
• Dart로 작성됨
Flutter Engine (엔진)
• Skia(2D 그래픽 엔진) 기반으로 UI 렌더링
• 네이티브 API(Android, iOS)와 연결
Embedder (임베더)
• 플랫폼별 코드(iOS, Android, Windows 등)와 Flutter 엔진을 연결
위에서 설명한 여러가지 이유로 오늘은 Flutter를 사용하기 위해, 환경 세팅을 진행해보겠다.
1.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다운로드
Android 스튜디오 및 앱 도구 다운로드 - Android 개발자 | Android Studio | Android Developers
Android Studio provides app builders with a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DE) optimized for Android apps. Download Android Studio today.
developer.android.com
플러터는 구글에서 개발됐기 때문에 안전한 빌드를 위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했다.
이용약관에 동의하고 본인의 OS에 맞게 버전을 잘 선택해서 설치하자.
본인은 Standard로 진행했다.
설치가 완료된 뒤에는 Market place에서 Flutter를 추가해준다.
2. Flutter SDK 다운로드
https://docs.flutter.dev/release/archive
Flutter SDK archive
All current Flutter SDK releases: stable, beta, and main.
docs.flutter.dev
위와 마찬가지로 플러터 SDK를 다운로드한다.
Flutter SDK가 없다면 앱을 빌드하고 실행할 수 없다.
자체적으로 위젯 시스템, 렌더링 엔진, 애니메이션 프레임워크 등을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SDK 내부에는 Flutter의 핵심 코드가 포함되어 있어야 UI를 빌드하고 앱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운로드한 flutter 폴더의 압축을 풀고 문서로 이동시켰다.
그리고 안스에서 Flutter SDK path를 입력하는 부분에서 본인이 설치한 Flutter 파일의 경로를 입력하고 진행하면 된다.
3. 환경변수 설정
Flutter SDK를 정상적으로 실행하고 개발 도구(Android SDK, Dart 등)를 인식하기 위해 환경 변수를 등록해야 한다.
본인은 macOS를 사용하기 때문에 터미널을 열고 다음과 같이 진행했다.
touch ~/.zshrc open ~/.zshrc //bash를 사용하는 경우 ~/.zshrc → ~/.bashrc에 추가
.zshrc파일이 열리면
export PATH="$PATH:플러터 SDK 폴더 경로"
를 추가해준다. 참고로 "/bin"까지 입력해줘야한다.
여기까지다.
앞으로 블로그는 개인적으로 본인이 활동한 것을 기록하는 용도로 쓸 예정이라, 불필요한 말은 최대한 삼가할 것이다.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 - Json파일 추가 (0) 2025.02.05 [Flutter] - Youtube Player 추가 (0) 2025.02.05